환경 이슈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는 이유

둥두루:D 2022. 3. 26. 10:38
반응형

지구의 평균기온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은 대기 중의 온실가스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태양으로부터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에너지는 지표면에 닿으면 일부는 흡수되고 일부는 방출된다. 

 

온실가스는 지구가 방출하는 태양에너지를 비닐 하우스의 막처럼 대기 중에 가두어 따듯하게 지구를 데우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탄소와 메탄 등이 대표적인 온실가스에 속한다. 

 

오늘날 지구가 사람이 살 수 있는 행성이 된 것도 대기 속 온실가스가 지구를 너무 덥지도, 춥지도 않게 따뜻하게 유지해주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류가 산업혁명 이래 온실가스를 지나치게 많이 배출하면서, 온실가스가 야기하는 온실효과가 점점 커지고 있다. 

 

18세기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시작된 이래, 인류는 화석연료라는 새로운 동력원을 활용하게 되면서 대량생산을 시작했다. 

 

철과 석탄, 증기기관을 이용하는 다양한 기계들이 발명되었고, 산업이 눈부시게 성장했으며, 인구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산업공정과 화석연료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양도 함께 증가했다. 

 

이렇게 화석연료의 연소와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은 1970~2010년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의 약 78%에 달한다. 

 

이 온실가스들이 오랫동안 대기에 머물면서 대기를 덥힌 결과 지구 평균기온이 1도씨 가량 상승하게 된 것이다.

 

 

지구의 운명은 이미 카운트다운을 시작했으며, 우리에게 기후변화를 막을 수 있는 시간은 많지 않다. 

 

인간 활동으로 인해 지금도 10년마다 0.2도씨 씩 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있으며, 현재와 같은 추세로 계속 온실가스를 배출할 경우 2050년에는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씨 이상 상승하고, 21세기 말에는 2.6~4.8도씨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관한 많은 과학적 연구들은 1.5도씨 이상으로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는 것만으로 생태계가 되돌릴 수 없는 수준으로 훼손된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나아가 지구 기온이 2도씨 이상 상승하게 되면 지구는 기후변화에서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회복력을 잃게 되어, 우리가 더는 기후변화로부터 지구를 구하기 어렵게 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