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태풍 3

기후변화, 전 지구적인 비상사태

점점 뜨거워지는 지구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대비 2011~2020년의 전지구 지표면 온도는 1.09℃ 상승했습니다. 1℃ 남짓한 변화는 우리나라의 환절기 일교차와 비교하면 적은 변화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북반구 겨울의 낮은 온도는 남반구 여름의 높은 온도로 상쇄되고, 우리나라의 밤에 기온이 떨어질 때는 지구 반대편에선 해가 떠오르며 기온이 오르므로 지구의 평균온도는 사계절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그런데 빙하기 이후 수천년간 일정하게 유지되어 온 지구의 평균 지표온도가 최근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것입니다. 기후변화, 전 지구적 비상사태 과학자들은 매일의 날씨 변화같이 단기간의 대기상태는 '기상'이라고 부르지만, 장기간동안 지속되는 날씨의 종합적이고 평균적인 특성과 변동은 ..

환경 이슈 2022.03.08

기후변화로 우리나라 태풍 피해가 심해진다! (국제기구 IPCC 보고서)

기억하시는 분도 많겠지만 2020년 8~9월에는 우리나라를 강타한 태풍 장미, 바비, 마이삭, 하이선 등의 영향으로 피해가 막심했습니다. 당시 인명피해는 46명으로 연평균 인명피해 14명을 크게 웃돌았고 재산피해도 1조 2585억원으로 연평균 피해액의 3배를 넘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2020년처럼 강한 태풍이 우리나라에 더 자주 찾아올 것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IPCC라는 최고 권위의 국제기구에서 발표한 것 입니다. IPCC는 전세계 과학자가 참여하여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와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2021년에 발표한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의 제1실무그룹 보고서는 2040년까지 지구 온도가 1.5℃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2022년 2월에는 제2실무그룹이 2030년 중반..

환경 이슈 2022.03.03

기후변화로 2050년 우리나라 조개 멸종 위기 (국제기구 IPCC 보고서)

우리 국민들이 사랑하는 조개가 기후변화로 인해 2050년이 되면 멸종 수준으로 간다고 합니다. 솔직히 지금으로서는 상상이 안돼죠. 이렇게 맛있는 조개를 먹을 수 없다니~ 이거 다 겁주려는 거 아닌가~ 말이 안되는 거 아닌가 싶죠. 하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는 IPCC라는 최고 권위의 국제기구에서 발표한 것 입니다. IPCC는 전세계 과학자가 참여하여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와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난 해 발표한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의 제1실무그룹 보고서는 2040년까지 지구 온도가 1.5℃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올해 2월에는 제2실무그룹이 2030년 중반 이후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 오르면 어떤 상황이 되는지 제시했고 우리나라의 전망도 제시됩니다. 조개류 생산 98..

환경 이슈 2022.03.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