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구온난화로 한겨울이 따뜻해지면서 2021년 12월부터 2022년 2월까지 기간 동안 한강이 한번도 얼지 않았다고 합니다.
한강에 대한 결빙 관측은 1906년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한강의 결빙은 한강대교 근처의 10m 부근이 완전히 얼음으로 덮이는 때부터를 말합니다.
한강의 결빙 관측을 처음 시작하던 1906년에 노량진이 한강의 주요한 나루터였기 때문에 결빙 관측 지점으로 이용됐습니다.
최근의 7년을 살펴보면 한강이 결빙되기 5일 전부터 결빙일까지 서울의 하루 최저 기온이 영하 10도씨 이하로 4~5일 정도 지속되어야 결빙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지난해는 서울의 겨울철 기온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낮은 기온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영하 10도씨 이하인 날이 4일 이상 지속되지 않아 한강이 완전히 얼어붙기는 어려웠던 것 같네요.
2019년에도 한강이 얼지 않았는데, 당시 겨울은 역대급으로 따뜻했던 것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당시 겨울에 영하 10도씨 이하로 기온이 떨어진 날이 겨우 4일에 불과했습니다.
한강에서 결빙이 관측되지 않은 해는 총 9차례로 1960년, 1971년, 1972년, 1978년, 1988년, 1991년, 2006년, 2019년, 2021년입니다.
앞으로 기후변화가 심해지면 한강에서 결빙 현상이 사라질 지도 모릅니다.
진행 중인 기후변화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탄소중립 실천과 기후행동에 나서야 합니다.
반응형
'환경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극이 따뜻해지면 동아시아에 한파? (0) | 2022.03.22 |
---|---|
남극, 북극의 동시 폭염! 평균 온도보다 40도씨가 더 높다고? (0) | 2022.03.21 |
반가운 봄꽃? 2월에 개나리가 피는 것이 반가운 일일까? (0) | 2022.03.19 |
기후변화 지표종인 두꺼비, 산란철 로드킬로 수난 (0) | 2022.03.18 |
신종 해양미생물, 기후변화 극복에 도움 줄까? (0) | 2022.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