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상청이 최근 우리나라 기후변화 시나리오대로 개나리, 벚꽃, 진달래 등의 봄 꽃 피는 시기를 전망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온실가스를 줄이는 성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경우 우리나라의 봄 꽃이 피는 시기가 20년 안에 최대 일주일 정도 빨라질 수 있으며, 특히 21세기 후반에는 봄꽃이 2월에 피는 등 우리 생태계가 전반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분석에 따르면 미래의 봄꽃 개화일은 계속 당겨져서 개나리와 벚꽃은 지금보다 6일 정도 빨리 피게 되고, 진달래는 7일 정도 빨리 필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진달래의 경우 개나리보다 늦게 피는 꽃임에도 21세기 후반에는 비슷한 시기에 피거나 더 빨리 필 수 있다고 합니다.
이미 봄철 이상 고온으로 인해 2018년 서울에서는 진달래와 개나리가 동시에 피었던 사례가 있습니다.
봄이 오면 예쁜 꽃이 우리의 마음도 녹아내리게 했지만, 이제 겨울이 짧아지고 봄이 빨리 오는 미래를 걱정해야할 처지에 놓였습니다.
기후변화는 현재도 진행 중이며, 우리의 기후행동으로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을 늦춰야 합니다.
탄소중립 실천이 시급한 때입니다.
반응형
'환경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극, 북극의 동시 폭염! 평균 온도보다 40도씨가 더 높다고? (0) | 2022.03.21 |
---|---|
기후변화로 얼지 않은 한강 (0) | 2022.03.20 |
기후변화 지표종인 두꺼비, 산란철 로드킬로 수난 (0) | 2022.03.18 |
신종 해양미생물, 기후변화 극복에 도움 줄까? (0) | 2022.03.17 |
지구 곳곳의 산불로 15년 새 남한 면적의 42배가 불타버렸다. (0) | 2022.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