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홍수 2

기후변화, 전 지구적인 비상사태

점점 뜨거워지는 지구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대비 2011~2020년의 전지구 지표면 온도는 1.09℃ 상승했습니다. 1℃ 남짓한 변화는 우리나라의 환절기 일교차와 비교하면 적은 변화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북반구 겨울의 낮은 온도는 남반구 여름의 높은 온도로 상쇄되고, 우리나라의 밤에 기온이 떨어질 때는 지구 반대편에선 해가 떠오르며 기온이 오르므로 지구의 평균온도는 사계절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그런데 빙하기 이후 수천년간 일정하게 유지되어 온 지구의 평균 지표온도가 최근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것입니다. 기후변화, 전 지구적 비상사태 과학자들은 매일의 날씨 변화같이 단기간의 대기상태는 '기상'이라고 부르지만, 장기간동안 지속되는 날씨의 종합적이고 평균적인 특성과 변동은 ..

환경 이슈 2022.03.08

기후변화로 해수면 상승과 홍수! 서울, 부산, 인천도 위험!(국제기구 IPCC 보고서)

폴리네시아에 있는 작은 섬나라 투발루를 아시나요? 영국연방의 하나이며 인구가 12,000명인 작은 나라입니다. 투발루는 해발고도 2~3m 정도라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에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위 사진은 투발루 장관이 제26차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에서 투발루가 직면한 상황을 보여주려고 바닷물에 들어가 연설을 하는 것입니다. 무릎까지 물이 차오르는 저 위치는 원래 물에 잠기지 않았던 곳이지만 해수면 상승으로 잠긴 곳입니다. 먼 나라의 이야기로 생각한 해수면 상승이 우리나라 해안도시인 부산, 인천, 울산 등에도 큰 피해를 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IPCC라는 최고 권위의 국제기구에서 발표한 것 입니다. IPCC는 전세계 과학자가 참여하여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와 정책방향을 제시하..

환경 이슈 2022.03.03
반응형